【가을걷이】 내가 파리 거리에서 만난 거리예술 (Street art incontournables à Paris)- 사실보다 더 사실, 진짜 보다 더 진짜인 트롱프뢰유 Trompe-l’oeil (눈속임) 기법 -
새가 날아드는 소나무를 그린 천재화가 솔거는 신라시대의 화가였다. 나무를 너무 사실적으로 잘 그려서 새가 나무에 앉으려고 날아가다가 벽에 부딪쳐 죽었다는 일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진짜 같이 그린 그림을 미술용어로 트롱프뢰유 Trompe-l’oeil 라고 하는데 알려진대로, 프랑스어인 이 말은 직역하면 ‘눈을 속인다’는 뜻이다.
20세기 초 입체파의 출현과 동시대에 쉬르레알리슴 Surrealism 이라는 초현실주의超現實主義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다다이즘의 예술 형식 파괴 운동을 수정, 발전시키고 비합리적인 잠재의식과 꿈의 세계를 탐구하여 표현의 혁신을 꾀한 예술 운동으로 인간의 무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장 콕토, 살바도르 달리, 호안 미로, 르네 마그리트, 막스 에른스트, 루이스 부뉴엘 등이 초현실주의 경향의 작품을 그렸던 화가들이다.
이들은 사실보다 더 사실 같은, 현실 세계에서는 있을 수 없는 기이한 초현실적 내용의 그림을 그려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오 헨리가 1905년에 써서 유명해진 소설 '마지막 잎새(The Last Leaf)'에서 잎은 사실이 아닌 그림이었다.
19세기 후반 미국에서는 위에 언급한 트롱프뢰유 기법인 '눈속임 그림'이 꽤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마지막 잎새'의 배경인 20세기 초에는 이미 구태의연한 장르로 취급 받고 있었다.
하지만 20세기 중반 들어서 트롱프뢰유 그림들은 사진과 다르게 "사물의 속성을 관조하는 예술"로 재평가 받기도 했다.
나는 파리 거리를 거닐면서 고층빌딩 창이 없는 벽에 이같은 트롱프뢰유 기법의 초대형 그래피티를 종종 만난다.
이 그래피티는 패트릭 코머시 Patrick Commecy, directeur artistique et gérant de A.Fresco.가 프레스코 기법으로 그린 초대형 그래피티이다.
대형 그래피티 작품들은 삭막한 도심의 빌딩 숲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잔잔한 미소와 해학, 그리고 인간다운 따스한 온기를 전해주고 있다.
도시 거리의 공공미술은 이처럼 인간의 삶에 활기와 가치를 불어넣어 주고 살만한 도시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공공재로서의 거리미술이어야만 한다.
영혼이 없는 공공미술 작품들이나 공감을 얻어내지 못하는 작가의 사적 넉두리 또는 자기 궤변적 이미지를 대형화 시켜 거리에 설치한 작품들은 예술작품이라기 보다 억지로 거리의 공간을 채워 밀어넣은 "시각 장애물 덩어리 visual obstacle mass"에 불과한 것임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정택영 / (파리 거주 화가, 전 홍익대 교수, 미디어저널 상임 객원 논설위원)교수의 <2020 파리팡세 > <저작권자 ⓒ 미디어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역임,
2006년 도불 현재 파리에서 활동 중, 재불예술인총연합회 회장 역임, 프랑스 조형미술가협회 회원, 월간 에세이 <한시산책, 파리 스케치 등 13여 년 연재 집필>, 월간 <아츠앤컬쳐- 파리스케치 8년 연재 집필>, 프랑스 파리 한인교민신문 <한위클리, 파리지성- '파리팡세' 칼럼 연재 중>, 드로잉 작품으로 세계 문학 책 50여 권 출간 greatart@hanmail.net takyoungjung@gmail.com takyoungjung.com jungtakyoung.com ![]()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